본문 바로가기
  • 내 마음 안전기지
감정일기

감정일기 - 은근히 기싸움을 걸고 무시하는 친한 친구

by 보라색테라스 2023. 10. 3.
반응형

은근히 나를 무시하는 말을 툭툭 던지면서 친한 친구가 있다. 이 친구가 좋기도 하지만 자꾸 신경을 건드려서 불편하다. 정우열 선생님이 당장 그 친구에게 집중하기보다 나의 감정을 표현하고 나에게 집중하라고 했다. 그래서 감정일기를 쓰려고 한다.

 

이 친구는 내가 뭐만하면 호들갑을 떤다니 여자같다니 온갖 다양한 이유를 대면서 놀린다. 그래서 같이 있기 불편하고 부담스럽다. 무시하는거 같아서 짜증도 난다. 그 친구는 무의식적으로 그런다. 어렸을 때는 안 그랬는데 점점 크면서 저렇게 변했다. 내안에 있는 낮은 자존감을 바라보지 못하고 남에게 투사하면서 살게 됐나보다. 불쌍하다. 평생 나의 마음을 모르고 저렇게 남에게 투사하면서 사는게 얼마나 후회스럽고 의미없는 삶인데. 그리고 본인 손해다. 저러면 자기의 영역도 좁아지고 인맥도 좁아진다. 그래서 어지간한 인간관계가 불편하고 힘들거다. 그래서 그 친구는 싸우는 친구가 많았다.

 

그건 당장 중요한 내 알바는 아니다. 그 친구에게 진거같고 무시당했고 근데 아무것도 못한 내가 너무 짜증난다. 어차피 내가 무슨말을 해도 그 친구는 자기만의 논리를 대며 이겨먹을거라 뭔말을 해도 의미는 없을거다. 차라리 가만히 있는게 나을수도 있다. 어차피 그 친구는 평생갈 친구는 아니라서. 곧 거리두고 멀어질 친구다. 어차피 뭐 내인생을 투자할만큼 중요한 친구는 아니라서. 같이 있으면 나만 손해니까. 자기안에 부정적인 명제가 힘이 너무 큰 사람은 가급적 멀리하고 거리를 둬야한다. 내가 그 명제를 해결해줄 의무도 없고 그럴 노력을 할 필요도 없다. 어차피 본인영역이고 안타깝지만 평생은 못할거다. 

 

그것보다 분한건 내 감정이다. 이겨먹자니 그 친구가 불편해하고. 그렇다고 나를 건드는건 그냥 두자니 짜증나고. 그렇다고 내가 역공격하면 나만 피곤해진다. 그냥 두고 블로그에 감정일기 쓰면서 나에게 집중하고 거리를 두는게 좋다. 정우열 선생님이 말한 방법이 이거다. 어차피 세상에 그런 사람은 또 있을거다. 이 친구를 손절해도 또 그런 친구가 나타난다. 나는 거리를 적당히 두면서 인맥의 장점은 챙기돼 거리는 두고 선넘는 발언은 자연스럽게 차단하기. 그리고 그 친구를 통해 내 감정을 바라보고 나에게 집중하는게 더 좋으니까. 

 

내가 공격을 해도 나중에 미안해진다. 또 나를 챙겨주는 모습에 감동하고 미안해한다. 그래서 잘해주면 또 무의식적으로 선넘는 친구때문에 더 화가난다. 이런 악순환에서 벗어나려면 중립적으로 있는게 좋으니까. 그리고 그 친구보다 내가 중요하니까. 그리고 적당히 선 그을땐 선 긋는것도 좋다. 그게 무조건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자연스럽게 나의 영역을 지키는거니까. 

 

오늘도 화나고 분하고 가만히 있었던 내가 억울하고 진거같아서 속상하다. 나를 공격하는 상황에서 가만히 있었던게 억울하다. 그래서 나도 나약하다고 했다. 나도 무의식적으로 공격한거 처럼 공격했다. 당황한 눈치가 보여서 속이 시원했다. 적당히 거리를 두면서 나를 지키는 연습도 하고 나에게 집중하는 시간도 가지고 좋다.

 

근데 어쩔수 없이 저런 친구를 직장에서 만나면 피하지도 못하고 얼마나 힘들지 걱정이다. 나는 그걸 피하고자 직장을 안 다닌다. 보고 싶지 않는 사람을 억지로 만나는 상황이 너무 싫다. 학교에서 그렇게 시달렸는데 내가 왜 커서도 그래야 하는지 답답하다.

 

정우열 선생님은 그 사람은 무의식적이고 일부러 그런건 아니다. 자기안에 있는 낮은 자존감과 우열에 서고 싶은 본능들이 작용해서 공격한다고 했다. 근데 그건 내 알바가 아니고 내 감정에 집중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 점점 그 사람이 공격해도 덜 흔들린다. 내가 자연스럽게 방어하거나 화를 낼 수 있다. 화를 내건 말건 대처는 중요하지 않다고 했다. 화를 내도, 가만히 참아도 나중에 이불킥을 한다. 내 감정에 집중하고 감정일기를 쓰면서 이불킥보다 내 편이 되는 시간을 가지면 나중에는 덜 흔들린다고 했다.

 

화를 내고 말고보다 중요한건 어떤 대처를 해도 이불킥보다 잘했네! 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경험이 중요하다. 감정일기를 열심히 쓰면 그렇게 된다고 했다.역시 정우열 선생님 고맙다. 그 친구가 나에게 함부로 하지 않을 수 있으면 좋겠다. 나에게 저러는 이유가 내가 만만해 보여서 그렇다고 생각한다. 근데 그런 분위기는 내가 풍긴다고 정우열 선생님이 그랬다. 어쩌면 나도 그 친구에게 그렇게 은근히 풍겼나보다. 나도 내 영역을 지키고 너무 남을 신경쓰는 것을 줄여야겠다. 어쩌면 내가 편한 친구들은 내가 함부로 남의 영역을 침범해도 되는 친구들인가. 그런건 알바가 아니고 순간에 느껴진 감정에 집중하자.

 

자꾸 선넘고 은근히 건드리는 순간에 내가 만만해 보이나? 나를 감히 무시해서 짜증나고 화가났다. 다음부턴 적당히 정색을 하고 상대에게 함부로 하지 말라는 신호를 보내고 싶다. 근데 가만보면 진짜 자존감이 낮은거같다. 무엇이든 무시하는 투로 말을 한다. 그러는 이유가 자신에게 그렇게 바라보거나 그런 공격을 당해서 그런거 같다. 저런 친구는 가급적 멀리해야 나의 정신건강에 도움된다. 자꾸 남을 무시하고 비아냥대는 사람들은 사실 자신이 그렇게 공격받았거나 스스로를 그렇게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가급적 멀리해야 나의 마음에 안정된다.

 

지금 알바를 관뒀지만 새로 하고싶지 않다. 어디서 저렇게 비아냥대거나 남을 무시하는 사람을 만날까봐 무섭다. 그런 사람을 만나면 너무 피곤하니까. 역시 인간관계가 제일 힘든 고민이구나. 어떻게 하면 그런 사람을 안 만날 수 있을까. 어딜가나 있을텐데. 참 고민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