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내 마음 안전기지
온라인사업/위탁판매 쇼핑몰 부업

위탁판매 한국 제품안전관리원에서 알려준 kc인증 법적 효력있는 가장 안전한 확인 방법

by 보라색테라스 2023. 4. 21.
반응형

국민신문고에 이 제품이 kc인증을 받아야 하는 제품인지 물어보면 관련부서로 전달되어 검토 후 답변이 옵니다. 법적효력이 있는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입니다.

 

위탁판매를 위해 공급사에서 상품을 소싱하다 보면 kc인증이 필요한데도 인증번호 없이 상품을 등록한 공급사들이 있습니다. 그런 상품을 모르고 등록하고 판매했다가 벌금을 낼 수 있습니다.

제가 실제로 인증이 필요한 상품을 인증번호 없이 팔았다가 벌금을 낼뻔했습니다.

부업으로 시작하는 위탁 판매자는 상품을 실물로 보지 못하고, kc인증 관련법에 대해 잘 모릅니다.

대량등록일 경우 더 허술해집니다.

kc인증 관련 문제를 미리 예방하는 방법인 국민신문고에 문의하는 법과 공급사에 물어보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국민신문고에 문의하기

국민신문고 사이트에서 민원신청을 통해 문의가 가능합니다.

국민신문고 민원
국민신문고 민원

 

민원제목은 의심이 드는 제품의 이름과 kc인증을 받아야 하는 제품인지 궁금하다고 적어줍니다.

민원내용에는  상세하게 상품의 상품명과 링크, 가능하다면 전체 페이지를 캡처해서 보내줍니다.

전체 캡처는 네이버웨일의 경우 오른쪽 위에 전체페이지를 캡처할 수 있습니다.

 

국민신문고 민원
국민신문고 민원

 

 

2. 안전신문고

안전신문고 또한 국민의 안전을 위해 행정기관 등에 신고하는 곳입니다. 

 

안전신문고의 안전신고로 가서 신고유형은 기타 안전 환경위험요인을 선택해 줍니다.

그 후 아래내용은 국민신문고와 마찬가지로 같은 형식으로 작성해 줍니다.

 

문의하고 나면 보통 2주~3주 후에 답변이 옵니다. 관련부서에서 해당 제품의 스펙과 관련법을 비교해서 

심사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안전한 방법이기에 추천드립니다.

 

3. 공급사에 물어보기

국민신문고와 안전신문고 외에 다른 방법은 공급사에 물어보는 겁니다. 

" 이 제품 kc인증이 필요한 제품인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제품을 수입하고 실물을 알고 있고 인증의 주체인 수입사나 공급사가 제품을 잘 알고 있기에 공급사에 물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하나 공급사들도 모르는 법이 있을 수 있고 

법이 개정되면 인증이 필요 없던 제품도 인증이 필수일 경우가 생깁니다. 공급사가 법이 개정되었는지 모르고 있을 경우도 있습니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아니지만 계절성 키워드나 잠깐 반짝 뜨고 마는 키워드의 상품을 찾아서 빨리 상품등록을 해야 할 경우 이런 방법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어떤 제품이 kc인증이 필요한지 내가 직접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모르면 경찰서 가는 위탁 판매 안전하게 하는 법 - 1편 (kc인증 확인 안 하면 경찰서 갑니다.)

저는 위탁판매를 시작한 지 6개월이 채 안되고 매출이 평균 50만 원인 초보 위탁판매셀러입니다. 최근 제품안전관리원에서 연락을 받았는데 kc인증이 필요한 제품을 인증 없이 판매했다고 신고

whereeverer.com

 

앞으로도 위탁판매를 하는데 필요한 꿀정보를 자주 업로드 할 테니 놀러 와주시면

온라인 위탁판매를 시작하거나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